jmp 레이블 : 작성된 레이블로 jump한다라는 의미이다.
이것과 비슷한 다른 어셈블리어들을 살펴보자.
je/ja/jb를 알아보기전에 cmp라는 명령어를 알아야한다.
간단하게 이야기하면 cmp A B라고 했을 때 두 피연산자를 비교해 ZF or CF에 변화를 주는 명렁어이다.
je [jump if equal] 레이블 :cmp의 두피연산자 값이 "같을 때" jump한다는 의미이다.
ja [jump if above] 레이블 :cmp의 두피연산자 값중 "앞"에 있는 값이 더 클 때 jump한다는 의미이다.
jb [jump if below] 레이블 :cmp의 두피연산자 값중 "뒤"에 있는 값이 더 클 때 jump한다는 의미이다.
je를 ja or jb와 같이 사용했을 때 나올 수 있는 jae/jbe
jae 레이블 : cmp의 두피연산자 값이 "같거나 앞에 값이 클 때" jump한다는 의미이다.
jbe 레이블 : cmp의 두 피연산자 값이 "같거나 뒤에 값이 클 때"jump한다는 의미이다.
'리버싱(Reversing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문제 풀이] CodeEngn Basic RCE L04 (0) | 2023.03.29 |
---|---|
[문제 풀이] CodeEngn Basic RCE L02 (0) | 2023.03.02 |
[문제 풀이] CodeEngn Basic RCE L01 (0) | 2023.02.14 |
[개념 공부] 어셈블리 cmp/test 정리 (0) | 2022.12.08 |
[개념 공부] Xdbg 기본키 및 베이스 캠프 설치 (0) | 2022.12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