웹 개발 4

[실습 기록] 웹 제작 2일차 - css, 달력 만들기

이래저래 중간에 일들이 있어 좀 늦어진 것 같지만오늘은 일정들이 한번에 보일 달력을 만들어보면서 공부해보았다.처음 접하는 것이기 때문에 모르는 개념이 많아 찾아보면서 진행을 하게되어 진행이 더디다는게 좀 그렇긴하지만 꾸준히 하다보면 언젠가는 완성되어 있지않을까 생각한다. 다른 분이 작성하신 calendar 만들기를 보고 모르는 개념을 검색하며 만들어 보고 있다.오늘 추가하면서 공부한 부분은div 태그, button 태그, ul 태그, li 태그 각 class이다. 먼저 div는 그룹을 지어주는 태그이다. 예를 들어 내가 만들고자하는 일정관리 페이지에는 달력, 일정 메모, 메모, 시간별 체크 부분들이 있어야하는데 그냥 작성할수도 있지만, 각각의 그룹을 만들어서 관리하면 css를 적용하기도 편하고 이부분이 ..

웹 개발 2024.07.08

[실습 기록] 웹 제작 1일차 - HTML 기본 태그

웹페이지를 하나 제작해보고자 하는 생각은 계속 가지고 있었지만, 그냥 책을보고 공부를 하는 것보다 웹 페이지를 하나 제작을 하면서 공부를 한다면 여러가지로 더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해 시작해보고자 한다. 어떤 웹 사이트를 만들까 고민을 해본 결과 내가 원하는 기능들만 넣은 일정관리 웹 사이트를 제작해보기로 하였다. 웹 - 일정관리필요 기능 - 1. 달력2. 하루별 할일 작성가능(시간대별 할일 체크 가능)3. 하루,일주일 마무리 일기작성 기능 일단 지금 당장 생각해보았을 때는 크게 이 3가지 기능이 들어가도록 제작해보기로 하였다.제작하다보면 더 추가되거나 수정되는 사항이 생길듯 사이트의 첫화면 디자인은 1. 패드가 있고 가운데 시작 버튼2. 시작 버튼 클릭시 반응형으로 화면으로 들어가는식이면 좋을 것 같음..

웹 개발 2024.07.02

[개념 공부] HTML/CSS/JS / Server side / Client side

웹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3가지 요소HTML/CSS/JS에 대해 알아보자.HTML은 HyperTextMakeupLanguage의 약자로 웹 사이트의 기본 구조나 태그와 같은 것을 작성할 때 사용한다.Web server에서 HTML로 작성된 문서를 보내면 브라우저에서 해석해 보여준다.웹서버에서 클라이언트에게 HTML로 작성된 데이터를 보내면 클라이언트가 브라우저를 실행하며 브라우저에서 해석해 보여주는 것이다. 웹의 뼈대와 같은 역할이라고 볼 수 있다. CSS는 CascadingStyleSheets의 약자로 HTML로 작성된 기본 구조를 어떤식으로 보이게 할지 글자의 크기나 색상 등 디자인과 관련된 부분을 담당한다. 웹의 살과 같은 역할이다.JS는 JavaScript의 약자로 웹사이트의 동적인 부분을 담당한..

웹 개발 2024.01.14

[개념 공부] 웹 서버/ 웹 클라이언트/웹 애플리케이션/웹 리소스

웹 서버란 ?정보를 제공해주는 역할웹 클라이언트란 ?정보를 요구하는 역할이다. 웹 애플리케이션란?동적인 웹 사이트라고 할 수 있다.WAS(Web Application Server)에 요청해 데이터를 가져온다. 웹 서비스란?웹상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웹 리소스란?웹 서버가 제공하는 정보이다. HTML/CSS/JavaScript가 있다.웹 리소스는 고유의 URI(Uniform Resource Identifier)을 가지고 있다 웹 서버와 웹 애플리케이션의 차이웹 사이트를 지칭할 때는 요즘에는 대개 두개의 구분을 두고 있지않다. 하지만 차이를 이야기해보자면 웹 서버는 정적인 사이트지정된 리소스를 가지고와 보여주는 식의 "관람"이 주목적이다. WAS에 요청하지않고 정해진 리소스를 바로 클라이언트에게 보낸다. 예를 ..

웹 개발 2024.01.14